728x90

■ Variable(변수) :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공간의 프로그래밍상 이름

m = 1

변수 m에 1이라는 값을 넣으라는 의미

변수는 메모리 주소를 가지고 있고 변수에 들어가는 값은 메모리 주소에 할당됨.

즉, 위와 같은 코드에서 m이라는 ‘메모리 주소’에 1이라는 값을 저장하는 것.

💡 컴퓨터의 구조는 기본적으로 폰 노이만 아키텍쳐에서 시작.(메모리와 CPU, 입력, 출력을 하는 방식)
폰 노이만 구조와 하버드 구조의 폰 노이만 아키텍쳐 참고.

 

■ 변수의 작명방법(주로)

알파벳(a,b,…,A,B,…)과 숫자(1,2,3,…), 언더스코어(_)로 선언 가능하다.

또한, 선언 시에는 그 변수가 어떤 값을 저장하고 있는지 또는 어떤 기능을 하는지 등 직관적으로 알 수 있도록 의미를 가지는 단어의 조합으로 표기하는 것이 좋다.

ex) 학번을 변수로 설정한다고 했을 때,

student_num = "00_0000" # 앞의 2개 숫자는 학년, 뒤의 숫자는 학생번호

 

728x90

'개발자 공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data 구조 및 종류  (2) 2023.05.16
Function 2  (0) 2023.05.11
String(문자열)  (0) 2023.05.10
Console 및 입출력  (0) 2023.05.09
기본 자료형 연산자  (0) 2023.05.08

+ Recent posts